1.1 2차원소재(2DLMs)* 정의
- 원자들이 단일 원자층 두께를 가지고 평면에서 결정구조를 이루는 물질
* Two-dimensioncal layered materials
(1) 장점
- 크리스탈격자구조로 매칭하지 않고 반데어발스로 매칭해도 아주 다양한 물질을 만들수 있음
(2) 단점
- 소스, 드레인의 접촉저항이 높음
- PN 도핑문제
- 문턱전압문제
- 이동도의 지역적 균질화 등
1.2 2차원소재 분류
- 전기적 특성에 따라 도체, 반도체, 부도체로 분류되며, 대표적으로 그래핀, 전이금속 디칼코게나이드, 흑린, 육방정계 질화붕소의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음
(1) 0D-2D, 1D-2D 반데르발스 이종구조
- 나노 물질결합의 새로운 패러다임
- 장점 : 넓은 밴드의 광감지기같은 많은 놀라운 소자만들 수 있음
(2) 2D-2D 구조
- 여러 2차원소재를 수직으로 쌓아서 반데어발스결합을 시킨 구조
- 장점 : 여러물질을 겹겹히 쌓아서 다양한 물질과 소자를 만들 수 있음
- 개발되고있는 소자 : tunnelling transistors, vertical field-effect transistors, pinning-free contacts, wearable and biocompatible electronics, photodetectors, solar cells, light-emitting devices(LEDs)
(3) 2D-3D 구조
- 일반적으로 쓰는 3차원물질과 2차원물질을 결합시킨 구조
- 장점 : 보편적인 기술
1.3 2차원소재의 개념 및 특징
- 그래핀의 발견 이후로 중심적으로 연구되고있음
- 원자간의 공유결합을 하고 있는형태이며, 아웃 레이어끼리는 약한 반데어발스결합*를 이룸
- 넓은 반데르발스 이종구조(vdWHs)**를 만듦, 격자를 매칭시킬 필요없음
* 원자단위의 결합이 아닌, 분자단위의 결합
** van der Waals heterostructures, 두 가지의 2차원소재로 반데르발스 결합을 시킨 구조
(1) 그래핀(graphene)
- 육방정계결정구조(Honeycomb structure)
- 뛰어난 기계적 힘(강철보다 200배 강함), 전기적 전송력, 물리화학적 안정성 높음
- 밴드갭이 없는 semi-metal (밴드모형이 모래시계 모양의 '디랙 콘' 구조를 가짐)
- 전하 질량이 없는 것 같이 행동하여 매우 빠른 전하이동도 보임. 즉, 이동도가 높음
(2) 육방정계 질화붕소(BN)*
- 붕소와 질소가 1:1비율, 육방정계결정구조(Honeycomb structure), 그래핀과 매우 비슷한 구조
- 넓은 밴드갭(6eV) 형성, 부도체
- 붕소,질소가 강한 공유결합으로 되어있어 물리, 화학적 안정성 높음
- 그래핀과 유사하게 투명하고 유연하면서 우수한 기계적 성질
- 이상적인 그래핀의 기판으로서 적합, 탄소동소체 보다 높은 열전도성
- 합성과정에서 다양한 결함을 가짐(구멍 결함 : 삼각형 빈자리 가장자리가 질소로 이루어짐)
*Boron nitride
(3) 전이금속 칼코겐 화합물(TMDs)*
- 종류 : MoS2, MoSe2, WS2, WSe2 등
- 전기적 성질을 조절할 수 있고, 다양한 밴드갭으로 구성됨
- MX** : 디칼코게나이드(MX2) > 칼코겐 두 원소층 사이에 전이금속 단일 원소층이 샌드위치 되어 있는 구조
- 가운데의 전이금속 원자는 아래위로 존재하는 칼코겐 원소와 강한 공유결합을 이루고 있어 물리적, 화학적으로 안정적
- chemical vapour deposition(CVD)로 성장
- 일반적으로 1~2eV 밴드갭, 전도띠와 가전자띠가 포물선 모양으로 표현되며, 소재의 두께에 따라 전자띠구조가 변함
- 이동도 : 100cm^2V^-1s^-1로 실리콘, 게르마늄과 비슷
*Transition metal dichalcogenides
**M(metal) : molybdenum, tungsten, X(chalcogenide) : sulfur황(S), selenium셀레늄(Se), tellurium
(4) 흑린(Black phosphorus)
- 주름진 육각 벌집(Puckered honeycomb)구조, 비등방성
- 지그재그 방향의 전하 유효질량이 암체어 방향의 전하 유효질량 보다 10배 이상 높음
- 전기전도성은 암채어 방향으로 우세한 반면 열전도성은 지그재그 방향으로 우세함
- 플라즈몬 공명 주파수 역시 암체어-지그재그 방향에 따라 다르므로, 입사광의 선형 편광 방향을 조절하면 공명 주파수의 제어가 가능함
- 0.33eV(bulk)~1.5eV(monolayer) 밴드갭 조정가능하여 광소자 적용에 용이
- 이동도: ~1,000cm^2V^-1s^-1로 그래핀보다 낮고, TMD보다 높음
- 그래핀과 TMDs사이에 다리역할을 할 수 있음
- 산화 등의 문제로 대기 중에서 매우 불안정함
2.1 고품질, 대면적 소재 제작 연구
- 덩어리 물질로부터 2차원소재를 분리하는 Top-down방식과 기판 위에 결정을 성장시키는 Bottom-up 방식이 있음
(1) Top-down 방식 : 기계적 박리법, 액상 박리법
- 액상 박리법(Liquid exfoliation) 용액에 3차원소재를 넣어 층간 간격을 넓힌 후 2차원 소재를 얻는 방법
- 장점 : 저렴한 비용으로 대량의 2차원 소재 제작 가능
- 단점 : 박막 균일도 떨어짐, 대면적 소재 얻는데 한계, 용매 제거시 오염
(2) Bottom-up 방식 : 화학기상 증착법(CVD), 초고진공 에피턱시 합성법
- CVD : 고온,저압에서 안정적인 가스를 이용해 하나 이상의 휘발성 전구체를 기판에 공급한 후 전구체와 기판 표면의 화학반응을 통해서 2차원소재 성장
- 장점 : 2차원소재의 층수 조정 용이, 웨어퍼 크기 수준 대면적 합성 가능
- 단점 : 복잡하고 민감한 합성조건, 고품질 박막 합성 어려움
- 초고진공 에피턱시 합성(Ultra vacuum epitaxy) : 초고진공 상태에서 하나 이상의 물질을 기화시키고, 기화된 분자들을 기판에 공급하여 기판의 결정축을 따라서 단결정박막을 합성하는 방법 (대표적으로 MBE(Molecular Beam Epitaxy)
- 장점 : 환경적인 요인 통제가 용이하여 고품질 박막성장 가능
- 단점 : 고가의 장비가 필요, 합성 공정이 복잡함
(3) 연구 현황
- 그래핀은 대면적 제작에 성공함, 현재는 고품질의 그래핀 합성 및 시료 품질 확인을 위한 방법들 연구 중
- MoS2는 CVD 등의 방법을 이용해 4인치 크기의 균일한 소재 합성 성공
- BN은 대면적 합성 가능하지만, 결정 구조 내에 정교한 제어가 불가능한 경정 결점이 있어 연구 중 (사파이어를 기판으로 사용하여 고품질 합성)
- 흑린은 대면적 합성 기술 아직 정립 안 됨
- 최근에 2차원 자성 소재(FePS3-반강자성, [Crl3, Cr2Ge2Te6]-강자성)합성에 성공
2.2 기초 단계의 소재 적용연구
- (디스플레이) 디스플레이의 핵심 요소인 투명전극과 트랜지스터에 2차원소재를 적용하기 위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음
- 그래핀은 투명전극으로서 적합하고, 최근 ITO에 근접하는 전류 및 밝기 효율이 보고됨
- 최근 2차원소재로만 이루어진 트랜지스터(AII-2D transistor)구현 연구 결과가 보고 됨(흑린만으로 p형 및 n형 전계 스위칭 소자, CMOS 회로구성)
- 그래핀을 이용해 용매에 따라 색깔을 바꾸는 '하이브리드 탄소 구조체' 개발 성공
- (광소자) 자외선부터 테라헤르츠파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빛과 상호작용 가능하므로 광소자로서 활용범위가 넓음
- (센서 및 필터) 두께에 비해 표면적이 넓어 센서나 필터에 적함
- (배터리) 그래핀을 리튬이온전지 등의 음극재로 사용하여 충전 용량 늘리고, 충전 속도 높이는 연구 진행 중
- (초경량, 초강력 소재) 그래핀은 얇고, 가벼우면서 철강에 비견하는 강도를 가지고 있어 우주선, 우주복 등의 소재로서 주목받고 있음
- (바이오) 2차원소재를 이용해 생물과 기계를 연결하거나, 동물의 뇌 구조를 모사해 동물 실험 대체 가능성을 제시하는 연구결과들이 보고되고 있음
2.3 다양한 소자
- Van der Waals vertical contact for planar 2D transistors. : Two-dimensinal semiconductors(2DSCs)
- Graphene-based van der Waals vertical transistors
- Thermionic vertical transistors
- Vertical tunnelling transistors
- Non-graphene-based vertical diodes and transistors
- Light-harvesting and detection devices
- Light-emitting device
3. 산업동향
- 2차원소재를 이용해 양산되고 있는 상용제품은 아직 없음, 거래 되고 있는 제품은 고가의 연구용 시료가 대부분, 그래핀의 경우 여러 가지 응용제품이 출시되기 시작한 단계
- 그래핀 플레이크 원소재,중간재 생산 업체 : (미국) XG Science, Angstron Materials, (중국) Xiamen Knano, (영국) Haydale 등
- CVD 그래핀 응용제품을 개발하고 있는 대기업 : (미국) IBM, 록히드마틴, (한국) 삼성, (네덜란드) 필립스 등
- 국내 그래핀 플레이크 응용소재를 개발하는 대기업은 한화, 포스코, 일진 등이 있고, 중견 기업은 동진세미켐, 상보, 창성, 대주전자재료, 솔브레인 등이 있으며, 중소기업은 에비켐택, 월드튜브, 제이오, 우인에쓰티, 라미나 등이 있음
4. 정책동향
- 중국과 EU는 정부차원에서 전략적으로 그래핀 관련 정책을 수립하고 있음
- 한국은 [제4기 나노기술종합발전계획]에 그래핀 산업화 촉진을 위한 핵심기술확보관련 내용을 포함시킴
5. R&D 투자동향
- 중국, EU, 싱가폴은 그래핀 관련 연구를 대형 프로젝트로 집중 투자하고 있고, 이러한 프로젝트를 수행하는 연구기관들은 대부분 그래핀에서 다른 2차원 소재까지 영역을 확장하여 연구를 수행 중임
- 한국의 ’16년 2차원소재 관련 정부R&D 투자액은 683억 원으로, 전체 정부R&D 투자액(19조44억)의 0.36%에 해당함
- (연구수행주체별) ’14~’16년도 연구수행주체별 투자액 비중은 대학(50%), 출연연구소(20%), 중소기업(11%), 중견기업(10%), 대기업(8%) 순
6. 참조
[1] 함선영, "2차원소재", KISTEP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, 505호 (2018)
[2] Yuan Liu et al. "Van der Waals heterostructures and devices", Nature reviews, Vo1 (2016)
[3] 임성일, "반데르발스 2차원 반도체소자의 응용과 이슈, 한국진공학회, Vo 5 (2018)
[4] 홍석륜, "'그래핀을 넘어' 2차원 물질에 대한 연구 동향", 물리학과 첨단기술 (2016)
'반도체과제 박살내자!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반도체]박막증착공정 심화: CVD 온도에 따른 증착률(Deposition Rate) (0) | 2020.04.09 |
---|---|
[반도체]박막증착공정 기본: CVD(Chemical Vapor Deposition) (0) | 2020.04.09 |
[반도체]박막증착공정 기본: ALD(Atomic layer deposition)증착 기술 (1) | 2020.04.08 |
[반도체]박막측정장비: 라만 분광법(Raman Spectroscopy) (0) | 2020.04.07 |
[서평]대학원생때 알았더라면 좋았을 것들(1)(엄태웅편) (0) | 2020.03.29 |